한국 프로배구 리그인 V-리그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실내 스포츠 리그로, 매 시즌 치열한 경쟁과 흥미진진한 경기로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. 본 문서는 2024-2025시즌 V-리그 진행방식의 핵심 요소를 남자부와 여자부로 나누어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시각으로 심층 분석합니다. V-리그 정규리그, 포스트시즌, 외국인 선수 제도 등의 세부 규정을 명확한 논리적 흐름에 따라 제시하여, 독자들이 리그 구조를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.
1. V-리그 리그 개요 및 참가팀 현황
V-리그는 한국배구연맹(KOVO) 주관으로 운영되며, 현재 남자부 7개 팀, 여자부 7개 팀이 참가하고 있습니다. 모든 참가팀은 정규리그와 포스트시즌을 통해 최종 우승팀을 가리는 단일 시즌 제도로 경쟁합니다. V-리그의 시즌은 일반적으로 가을에 시작하여 이듬해 봄에 종료되는 일정으로 진행됩니다.
참가팀 현황 (2025-2026시즌 기준)
| 구분 | 팀 수 | 참가팀 |
| V-리그 남자부 | 7개 팀 | 대한항공 점보스,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, 우리카드 우리WON, OK금융그룹 읏맨, 한국전력 빅스톰, KB손해보험 스타즈, 삼성화재 블루팡스 |
| V-리그 여자부 | 7개 팀 | 현대건설 힐스테이트,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, GS칼텍스 서울Kixx, 정관장 레드스파크스, IBK기업은행 알토스,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,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|
| KOVO 홈페이지 |
2. V-리그 정규리그 진행방식: 라운드 로빈 시스템
V-리그 진행방식의 근간은 모든 팀이 서로 동일한 횟수로 맞붙는 라운드 로빈 시스템입니다. 정규리그 순위는 이 시스템을 통해 얻은 성적을 바탕으로 결정되며, 포스트시즌 진출의 핵심 기준이 됩니다.
2.1. 정규리그 경기수 및 운영 방식
남자부와 여자부 모두 팀당 6라운드에 걸쳐 경기를 치르게 됩니다. 이는 모든 팀이 상대 팀과 홈 3회, 원정 3회씩 총 6번의 맞대결을 펼치는 것을 의미합니다.
- 남자부: 총 6라운드, 팀당 36경기 (7개 팀)
- 여자부: 총 6라운드, 팀당 36경기 (7개 팀)
2.2. 정규리그 순위 결정 기준
정규리그 순위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순차적으로 결정됩니다. V-리그에서 승점은 순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.
- 승점: 승리한 경기의 결과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여됩니다.
- 3-0 또는 3-1 승리 시: 승점 3점
- 3-2 승리 시: 승점 2점
- 2-3 패배 시: 승점 1점
- 1-3 또는 0-3 패배 시: 승점 0점
- 승수: 승점이 같을 경우, 더 많은 승리(경기 승수)를 기록한 팀이 상위 순위가 됩니다.
- 세트 득실률 (Set Quotient): 승수도 같을 경우, 총 획득 세트 수를 총 실점 세트 수로 나눈 비율 (SQ = (획득 세트 수) / (실점 세트 수))에 따라 높은 팀이 상위 순위가 됩니다.
- 점수 득실률 (Point Quotient): 세트 득실률까지 같을 경우, 총 획득 점수를 총 실점 점수로 나눈 비율 (PQ = (획득 점수) / (실점 점수))에 따라 높은 팀이 상위 순위가 됩니다.
3. V-리그 포스트시즌 진행방식: 우승팀 결정
V-리그의 정규리그가 종료되면, 상위권 팀들은 챔피언의 자리를 놓고 포스트시즌에 돌입합니다. V-리그 진행방식 중 포스트시즌은 준플레이오프(준PO), 플레이오프(PO), 챔피언결정전(챔결)의 3단계로 구성됩니다.
3.1. 포스트시즌 진출팀 및 어드밴티지 규정
정규리그 1위 팀은 플레이오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챔피언결정전에 직행하는 어드밴티지를 얻습니다. 4위 팀의 포스트시즌 진출 여부는 준플레이오프 규정에 따라 결정됩니다.
- 준플레이오프(준PO):
- 정규리그 3위 팀과 4위 팀의 승점 차이가 3점 이하일 경우에만 단판 승부로 진행됩니다.
- 3위 팀이 승리하면 준PO는 종료되며, 3위 팀이 PO에 진출합니다.
- 4위 팀이 승리하면 4위 팀이 PO에 진출합니다.
- 승점 차이가 3점 초과일 경우, 준PO 없이 3위 팀이 PO에 직행합니다.
- 플레이오프(PO): 정규리그 2위 팀과 준PO 승리팀(또는 3위 팀)이 맞붙으며, 3전 2선승제로 진행됩니다.
- 챔피언결정전(챔결): 정규리그 1위 팀과 PO 승리팀이 맞붙으며,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어 최종 우승팀을 가립니다.
| 단계 | 참가팀 | 경기 방식 |
| 준플레이오프 | 3위 vs 4위 (승점 3점 이하 시) | 단판 승부 |
| 플레이오프 | 2위 vs 준PO 승리팀(3위) | 3전 2선승제 |
| 챔피언결정전 | 1위 vs PO 승리팀 | 5전 3선승제 |
3.2. 포스트시즌 대진 원칙
모든 포스트시즌 경기는 정규리그 상위 순위 팀에게 1차전, 3차전(필요 시), 5차전(필요 시)의 홈 경기 우선권이 부여됩니다. 이는 정규리그 성적에 대한 명확한 보상 체계입니다.
4. V-리그 주요 제도: 외국인 선수 및 아시아 쿼터
V-리그는 리그 경쟁력 강화를 위해 외국인 선수 제도를 운용하고 있으며, 최근에는 아시아 쿼터 제도까지 도입하며 리그의 다양성을 확대하고 있습니다. 이 제도는 V-리그 경기의 전술적 깊이와 흥미를 더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.
- 외국인 선수 제도:
- 남자부 및 여자부 모두 트라이아웃을 통해 팀당 1명의 외국인 선수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.
- 외국인 선수의 포지션 및 역할은 팀 전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.
- 아시아 쿼터 제도:
- 2023-2024시즌부터 아시아 국가 출신 선수를 추가로 1명씩 영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- 이는 각 팀이 아시아 배구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선수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, V-리그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.
본 문서는 V-리그 진행방식을 정규리그 순위 결정 기준, 포스트시즌 구조, 그리고 주요 제도 중심으로 상세히 분석했습니다. V-리그는 승점-승수-득실률로 이어지는 명확한 순위 결정 방식과, 3위와 4위의 승점 차이에 따라 준플레이오프가 진행되는 역동적인 포스트시즌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. 남자부와 여자부 모두 동일한 운영 틀 속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으며, 참가팀 현황은 상기 테이블을 통해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
V-리그의 경기 일정, 팀별 상세 전력, 그리고 최신 규정 변동사항 등 추가적인 정보를 탐색하시려면 한국배구연맹(KOVO) 공식 웹사이트 또는 관련 전문 스포츠 채널의 심층 분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댓글
댓글 쓰기